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한블리(한문철블랙박스리뷰) 보다가 궁금 - ‘장애’와 ‘장해’의 차이, 헷갈리지 않으셨나요?

by 탐욕찐빵 2025. 4. 24.

 

자주 즐겨보는 한블리(한문철 블랙박스 리뷰)를 보다가 궁금해진 장애와 장해의 차이점!

"장해"와 "장애"는 비슷해 보이지만, 의미와 사용되는 맥락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 아래에 두 단어의 뜻과 차이점을 정리해드릴게요.

한블리 (한문철 블랙박스 리뷰) 35회 상시 유턴 사고

 

[상시 유턴 사고] 「긴급 자동차 특례법」이 있어도 보호받지 못하는 영웅들 | 명장면클립 | 한블

등록일 2023.06.15 (목) [상시 유턴 사고] 「긴급 자동차 특례법」이 있어도 보호받지 못하는 영웅들 #한블리 #상시유턴 #구급차 #응급이송 #긴급자동차 📌 공홈에서 리플레이 : https://tv.jtbc.co.kr/1ovel

tv.jtbc.co.kr

 


🧩 1. ‘장애’란?

💬 방해가 되는 요소나 신체·정신의 제약 상태를 의미합니다.

📌 주로 쓰이는 분야

  • 일상생활
  • 복지, 교육, 사회 전반

📝 예문

  • 그는 지체장애 2급 판정을 받았습니다.
  • 학교에서는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.
  • 취업 준비의 가장 큰 장애물은 외국어였습니다.
  •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 불법 주차된 차량이 단속됐습니다.

🛠️ 2. ‘장해’란?

💬 사고 등으로 인해 신체 기능이 영구적으로 손상된 상태를 뜻합니다.
주로 산업재해, 보험, 의학 관련 문서에서 사용됩니다.

📌 주로 쓰이는 분야

  • 산업재해, 산재보상
  • 보험, 의학적 진단

📝 예문

  • 그는 기계에 손이 끼이는 사고로 장해등급 5급을 받았습니다.
  • 상해보험에서는 영구장해에 대한 보상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
  • 교통사고로 영구적 장해가 남아 장해보상금을 청구했습니다.
  • 의사는 손목 신경 손상으로 회복 불가능한 장해가 발생했다고 말했습니다.

🔍 장애 vs. 장해, 이렇게 다릅니다!

구분장애 (障礙)장해 (障害)
의미 일반적 제약 상태 사고로 인한 신체 손상
사용 맥락 복지, 교육, 일상 표현 산재, 보험, 의료/법률
예시 지체장애, 장애물 장해등급, 장해보상금

🧠 쉽게 기억하는 팁!

  • 장애: 상태 중심 👉 현재의 불편함 또는 제약
  • 장해: 결과 중심 👉 사고로 인해 생긴 손상과 등급

이처럼 두 단어는 비슷하게 느껴지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의미가 분명히 다릅니다.
보험 청구나 법적 문서에서 혼동하지 않도록, 정확한 단어 선택이 중요합니다!